성경지명해설

  • 자료실 >
  • 성경지명해설
2.2.5. 무시아
박진숙 2016-05-14 추천 1 댓글 0 조회 2571

 

5) 무시아

 

 

(1) 지명 연구

   무시아(Musiva : moo-see'-ah : 뮈시아)죄인이라는 뜻으로 이것은 브루기아 사람과 같이 아시아에 침입한 트라키아 부족 무시(Mysi)에서 파생한 것으로 되어 있다. 소아시아 서북부의 한 지방으로 프로폰트 해(Propontis, 지금의 마르마라 해(Marmara Denizi)와 헬레스폰트(Hellesphont) 해협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다

 

(2) 역사적 배경

 

   소아시아 서북부의 한 지방인데, 프로폰트해(Propontis, 지금의 마르마라해, Marmara Denizi), 헬레스폰트(Hellespont) 해협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브루기아 사람과 같이 아시아에 침입한 트라키아 부족 무시(Mysi)에서 파생한 것으로 되어 있다. 경계선은 시대에 따라 달라 확실하지 않으나 대체적으로 남으로는 루디아, 동남쪽으로는 브루기아, 동북쪽으로는 비두니아와 각각 접경하고 있었다. 이곳은 바사 다음에는 알렉산더 대왕의 지배를 받았다. B.C. 280년부터 버가모 왕국의 일부가 되고 B.C. 133년 로마에 속하여 속주 아시아(Provincia Asia)의 일부로 되었다. 성경에는 단 한 번 기록되어 있을 뿐(16:7,8) 바울은 제 2차 전도여행 때 이 땅을 통과했지만 전도 활동은 하지 않았다. 전설에 이 곳의 교화는 오네시보로(Onesiphorus)라는 인물에게 힘 입음이 크다고 하며, 그는 109-114년까지 아시아의 총독이었던 아드리안(Adrian)의 치하에 파리움(Parium)에서 순교했다고 한다. 무시아의 서부연안에는 드로아(16:8과 고후 2:12비교), 앗소(20:5-14) 등의 성읍들이 발달하여 기독교인들도 일찍부터 있었다.

 

 

 

(3) 성경 본

 

(16:7) 무시아 앞에 이르러 비두니아로 가고 애쓰되 예수의 영이 허락하지 아니하시는지라.

 

 

   바울은 아시아의 로마 영토로 가서 복음을 전하기를 원했지만 성령은 이 행로를 허락하지 않았다. 일반적인 견해는 바울이 아시아를 지나서 브루기아와 갈라디아를 통해가면서 복음을 전하고 무시아를 통해 고대 트로이인 드로아까지 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16:6~8).

   하나님의 뜻은 다른 곳 곧 복음의 씨앗이 아직 뿌려지지 않은 유럽대륙에 있었기 때문이다.

 

무시아 광야지역 

 

무시아 광역지역

 

자유게시판 목록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2.2.6. 드로아 박진숙 2016.06.13 1 3023
다음글 2.2.4. 브루기아와 갈라디아 박진숙 2016.04.23 2 5761

573874 TEL : 063-464-8186 지도보기

Copyright © 울타리교회. All Rights reserved. MADE BY ONMAM.COM

  • Today16
  • Total73,233
  • rss